![]()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환자 간호를 위해 전문 간호 인력이 24시간 상주하며
환자를 돌보는 시스템입니다. 보호자나 개인 간병인의 상주 없이 전문적인
간호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건강보험을 통해서
이용 가능합니다.
해당하는 병원 찾아보기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홈페이지나 건강IN 앱을 통해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이트를 활용하여 지역별, 진료과목별로 병원을 검색하시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지정병원 찾아보기플레이스토어 어플 다운
앱스토어 어플 다운
<위 버튼 누르시면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특정 진료를 제공하는 병원 찾아보기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의 특수진료병원정보서비스 활용하면 특정 진료를 제공하는 병원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혈액투석과 같은 지병을 앓고 있을 때는 여기서 찾아보시면 됩니다.
특수진료병원 찾아보기
<위 버튼 누르시면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지정병원 찾아보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장단점
장점
- 전문적인 간호 서비스 제공: 훈련된 간호 인력이 24시간 상주하며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합니다.
- 보호자의 간병 부담 감소: 보호자가 병실에 상주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 시간적 부담이 줄어듭니다.
- 병원 감염 위험 감소: 전문 인력의 위생 관리로 감염 관리가 강화되어 병원 내 감염 위험이 줄어듭니다.
- 체계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 환자의 투약, 처치, 활력징후 체크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단점
- 개인 프라이버시 부족: 다인실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환자의 사생활 보호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보호자와의 소통 제한: 보호자의 병실 상주가 불가능하므로 환자와의 소통이 제한됩니다.
- 환자 개별 요구 반영의 어려움: 바쁜 시간대에는 간호 인력이 환자 개별 요구에 즉각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신청 절차
- 먼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을 확인합니다.
- 해당하는 병원에 진료 예약을 합니다.
- 진료 후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 필요성에 관해서 상담합니다.
- 병동 서비스 이용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 서비스 이용 동의서를 작성합니다.
- 병실 배정을 받은 후 입원합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준비물 체크리스트
- 개인 위생용품 (칫솔, 치약, 비누 등)
- 편안한 실내복과 슬리퍼
- 개인 수건
- 보험증과 신분증
- 복용 중인 약물
- 간단한 독서물이나 오락거리
병동 일상 스케줄 예시
- 06:00: 기상 및 아침 활력징후 체크
- 07:00: 아침 식사
- 09:00: 의사 회진
- 10:00: 오전 투약 및 처치
- 12:00: 점심 식사
- 14:00: 오후 투약 및 처치
- 18:00: 저녁 식사
- 20:00: 저녁 활력징후 체크
- 22:00: 취침
긴급상황 발생 시 대처 방법
- 갑작스러운 통증: 호출벨을 눌러 간호사에게 즉시 알립니다.
- 호흡 곤란: 상체를 일으켜 앉고 호출벨을 누릅니다.
- 어지러움이나 실신: 침대에서 내려오지 말고 호출벨을 누릅니다.
- 출혈: 출혈 부위를 압박하고 호출벨을 누릅니다.
- 알레르기 반응: 즉시 호출벨을 누르고 증상을 설명합니다.
병동 퇴원 절차
- 먼저 의사의 퇴원 결정을 받습니다.
- 퇴원 관련 교욱을 받습니다.
- 퇴원 처방전 및 진단서를 수령합니다.
- 병원비 등 비용을 정산합니다.
- 마무리 되셨으니 귀가하시면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추가 비용은 얼마인가요?A: 건강보험이 적용되어 일반 병동보다 약간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만, 개인 간병인을 고용하는 것보다 저렴합니다.Q: 보호자가 전혀 방문할 수 없나요?A: 정해진 면회 시간에 방문할 수 있으나, 상주는 불가능합니다.Q: 중증 환자도 이용할 수 있나요?A: 중증 환자 전담 병실도 운영되어 중증 환자도 이용 가능합니다.
마무리 지으며
인근에 지정된 병원이 없으시다면 간병인 보험 가입을 통해서 간병비에 관련한 비용 등을 보장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전체 인구 중에서 65세 이상의 인구 비중이 20%를 넘으면 초고령화 사회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2024년 7월을 기준으로 19.5%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우리나라는 이미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셈입니다.
그런 만큼 간호 간병 통합 서비스와 더불어 노후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서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의 제 글들도 고령화에 도움이 될만한 주제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른 글도 읽어보기
Tags:
senior